2024/03 5

해운대정신과 반사회성 성격장애 원인은?

해운대정신병원 반사회성 성격장애 원인은? ​ 안녕하세요. 부산정신의학과 해운대자명병원입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종종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 등장합니다 이들은 타인의 감정에 공감을 잘 하지 못하고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합니다. ​ ​ 반사회성 성격장애는 전체 인구의 약 0.2~3.3%정도이며, 교도소 수감자 중에서는 15-25%정도 해당된다고 합니다. 모든 범죄자가 반사회성 성격장애 상태를 보인다고 할 순 없지만,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특징이 범죄에 노출되기 쉽게하고 또한, 범죄를 저지르기 쉬운 성향을 띄고 있다고 말할 순 있습니다. ​ 반사회적 성격장애 진단 아래 상태가 3가지 이상 해당될 경우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진단내릴 수 있습니다. 일단 성격장애는 만..

해운대정신병원 틱장애 말이 제멋대로 나와요!

해운대정신병원 틱장애 말이 제멋대로 나와요! ​ 안녕하세요. 부산정신의학과 해운대자명병원입니다. 한 유튜버가 '뚜렛증후군'을 고백한 영상을 올린 것이 조작되었다는 논란이 된적이 있습니다. 논란을 제기한 누리꾼은 뚜렛증후군이 어린 시절의 증상경험도 없이 갑자기 나타난 것이 이상하다는 의혹을 표했습니다. 뚜렛증후군이라고 하면 생소할지 모르나 '틱 장애'를 가졌다는 말이 익숙할 수 있습니다. ​ 틱장애란? ​ 틱이란 스스로 조절하기 힘든 갑작스럽고 단순하며 반복적인 동작(운동틱)이나 소리를 내는 현상(음성틱)을 뜻합니다. 보통 8세 전후에 처음 나타나며 성인이 된 뒤에 최초로 나타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아동기에 해당 증상으로 치료받은 적이 없었다면 증상이 없었다기 보다는 제대로 증상을 염두에 두거나 치료..

해운대정신병원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필요!

해운대정신병원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필요! ​ ​ 안녕하세요. 부산정신과 해운대자명병원입니다. A씨는 40대로 젊은 시적부터 코골이가 심했다고 합니다. 평소에도 코골이가 심했지만 술을 마시고 잘 때면 숨을 헐떡이고 땀을 흘리곤 했습니다. 사업으로 인해 식습관이 불규칙해지고 잦은 음주로 인해 과체중이 되면서 숨을 헐떡거리는 증상이 더욱 심해졌습니다. A씨는 잠을 자도 개운하지 앟고 낮에는 힘이 없고 업무를 보는 중에 멍하게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고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의 환자 사례입니다. 질 좋은 수면이 어려워 잠을 자도 낮동안의 피로감이 주된 증상입니다. ​ 수면무호흡증이란? ​ 전체 인구 중 1~2% 가량 유병율을 보이고 중년 이상의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수면 중에 다양한 원인으로 상 기도의 일시적..

부산정신병원 기분장애 증상과 치료법은?

부산정신병원 기분장애 증상과 치료법은? ​ ​ 안녕하세요. 부산정신병원 해운대자명병원입니다. ‘닥터 슬럼프’라는 드라마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주인공 역을 맡은 남하늘은 고등학교때부터 전교 1등을 놓치지 않은 수재에 스스로의 동기로 열심히 학문에 매진하는 성취 지향적 인간이지요. 의대교수라는 목표를 위해 온갖 부당한 일을 견디지만 내면은 서서히 무너지고 있었고 급기야 ‘우울증’이라는 진단을 받게 됩니다. ​ 사실, 여기까지는 그다시 특별할 것 없는 전개이지만, 주인공이 자신의 어머니에게 자신이 우울증이라는 것을 고백하자 보인 어머니의 반응이 인상적이었습니다. ​ “나 우울증이래.” 라는 주인공의 대사에 어머니의 첫 대사는 “그럴 리 없다.” 였습니다. “누구한테 그런 이상한 소릴 들었는지 몰라도 너는 절..

해운대정신병원 외상 후 스트레스(PTSD) 원인과 대처방법

해운대정신병원 외상 후 스트레스(PTSD) 원인과 대처방법 ​ 안녕하세요. 부산정신의학과 해운대자명병원입니다. 소방관들은 화재, 구조 작업, 사고 현장에서의 충격적인 경험과 위험에 노출됩니다. 소방공무원 5만 2천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이후 PTSD)나 우울, 수면장애, 문제성 음주 중 적어도 1개 이상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위험군은 2만3천여명으로, 전체의 44%를 차지했습니다. 소방관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생각보다 심각한 이 결과로 인해 소방관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다양한 사업이 진행 중이고 또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신건강 사업에는 당연히 정신건강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SNS의 콘텐츠에도 나올 정도로 흔해진 단어, PTSD. 과연 어떤 질환일까요. 외상..